대체 왜 살이 찌지? 겨울 간식, 살 덜 찌게 먹는 법 10
대체 왜 살이 찌지? 겨울 간식, 살 덜 찌게 먹는 법 10
겨울이 되면 유독 입맛이 돈다. 기분 탓이 아니다. 추운 날씨에 적응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데, 그래서 더 자주 배고픔을 느끼게 된다. 그렇다고 우걱우걱 간식을 때려 넣을
www.gqkorea.co.kr
겨울이 되면 유독 입맛이 돈다. 기분 탓이 아니다. 추운 날씨에 적응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데, 그래서 더 자주 배고픔을 느끼게 된다. 그렇다고 우걱우걱 간식을 때려 넣을 수는 없는 법. 겨울 간식을 건강하게, 그리고 살이 덜 찌게 먹을 순 없을까?

고구마는 찌거나 굽기
겨울철 대표 간식 고구마. 당연한 이야기지만 고구마를 튀기거나 설탕을 뿌리면 열량이 높아진다. 찌거나 굽자. 고구마 본연의 단맛을 즐기면서도 불필요한 열량 섭취를 줄일 수 있다.
감자도 찌거나 구워서
감자도 마찬가지다. 어떻게 요리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감자를 튀겨 먹으면 열량 폭탄이 된다. 찌거나 오븐에 구워 허브와 약간의 소금을 뿌려 먹는 게 건강하고 맛도 좋다.
호빵은 반으로 나눠 먹기
호빵은 열량이 높은 간식 중 하나다. 한 번에 다 먹기보다는 반으로 나눠 천천히 즐기거나 옆 사람과 나눠 먹는 걸 추천한다. 속 재료를 고를 때도 팥이 들어간 호빵보다는 채소 호빵을 선택하면 열량을 낮출 수 있다.
오뎅 국물은 피하기
겨울철 길거리 오뎅 또한 별미다. 팅팅 불어버린 오뎅과 따뜻한 오뎅 국물 한 잔이면 추위도 쏙 들어간다. 하지만 오뎅 국물에는 나트륨과 열량이 높다. 오뎅을 먹을 때는 국물을 최대한 적게 먹고 간도 약하게 먹자. 근데 이럴 거면 오뎅을 먹는 의미가 거의 없는 것 같지만…
붕어빵 속은 적게
붕어빵은 밀가루 반죽과 달콤한 팥소가 들어 있다. 열량이 높다는 이야기다. 붕어빵을 먹을 때 팥 부분을 덜어내고 먹자. 칼로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요거트를 곁들여 단맛 줄이기
붕어빵이나 호빵처럼 단맛이 강한 간식에는 무가당 요거트를 곁들이자. 단맛을 중화하고 칼로리 섭취를 줄일 수 있다. 요거트는 소화를 돕고 포만감도 오래 지속된다.
밤은 소량만
밤도 겨울에 빠질 수 없는 간식 중 하나. 밤은 포만감을 주는 건강한 간식이지만, 과도하게 먹으면 살이 찐다. 하루에 한 줌 정도가 적당하다. 밤을 X자로 칼집을 내어, 물에 10분 정도 담가두자. 그리고 에어프라이어에서 180도에서 15~20분 정도 굽자. 중간에 한 번 뒤집어 주면 껍질도 잘 벗겨지고 골고루 익는다.
간식에 견과류 섞기
군밤이나 감자와 같은 간식에 견과류를 조금 추가하면 영양소를 보충하면서 포만감을 높일 수 있다.
계란 먹기
성장기 어린이처럼 계속 배가 고프고 무언가 당긴다면 계란을 삶아두고 하나씩 꺼내 먹자. 영양소도 많고 단백질 섭취에 좋으며 포만감도 오래간다. 단맛 간식을 줄이는 데도 효과가 있다.
따뜻한 차와 함께
간식을 먹을 때 따뜻한 차를 곁들이면 배를 더 빨리 채울 수 있다. 녹차나 허브차는 소화를 돕고 열량도 적어서 겨울 간식과 잘 어울린다.
최신기사
연말 선물로 ‘느좋’인 탬버린즈의 에그 립밤과 퍼퓸 밤
시간이 지나도 영원히 아름다운 것들에 대하여
감기에 관한 잘못된 상식 7
대체 왜 살이 찌지? 겨울 간식, 살 덜 찌게 먹는 법 10
대체 왜 살이 찌지? 겨울 간식, 살 덜 찌게 먹는 법 10
겨울이 되면 유독 입맛이 돈다. 기분 탓이 아니다. 추운 날씨에 적응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데, 그래서 더 자주 배고픔을 느끼게 된다. 그렇다고 우걱우걱 간식을 때려 넣을
www.gqkorea.co.kr
옷만 두껍다고 다가 아냐! 겨울에 유용한 보온 꿀팁 11
옷만 두껍다고 다가 아냐! 겨울에 유용한 보온 꿀팁 11
발이 따뜻해야 몸 전체가 따뜻하게 느껴진다. 보온용 양말을 착용하거나 양털 깔창을 사용해 보자. 단, 양말을 너무 두껍게 신거나 신발을 꽉 끼게 신지는 말자. 혈액순환이 방해되어 오히려 추
www.gqkorea.co.kr
그날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면? 퇴근 후 꼭 해야 할 일 7
그날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면? 퇴근 후 꼭 해야 할 일 7
퇴근 후에는 디지털 기기를 멀리하자. 스마트폰과 컴퓨터 화면을 계속 들여다보면 스트레스가 계속 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루라이트는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방해한다. 하버드 대
www.gqkorea.co.kr
'건강장수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이 편하면 하루가 편하다, 증상별 발 지압 효능 (0) | 2024.12.21 |
---|---|
추위를 덜 타는 7가지 방법 (5) | 2024.11.22 |
눈, 코, 입을 통해 몸 상태 체크하는 초간단 방법 6 (6) | 2024.11.17 |
나.. 아픈건가? 당신의 피부가 자꾸 가려운 이유 7 (2) | 2024.11.10 |
없던 기력도 솟아나는 가을 제철 음식 5 (3)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