琢光苑(탁광원: 光을 다듬는 곳)

반응형
나의 사진을 달라지게 하는 촬영 노하우

1 각(앵글)을 먼저 잡는 게 포인트!
모든 게 자동으로 맞춰지는 스마트폰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앵글’이다. 사각형 틀을 어떻게 찾아내느냐에 따라 결과물이 크게 달라진다.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줌 렌즈가 아니다. 물론 스마트폰 카메라의 확대 기능이 있지만 이를 활용하면 화질이 떨어진다. 손과 발을 움직여 최적의 앵글을 찾아보자.

인물 촬영의 경우, 반신 촬영을 할지 전신 촬영을 할지, 배경과 인물을 미리 카메라 액정을 통해 확인해보자. 또한, 사진에서 무릎이나 손목, 발목 등이 잘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풍경을 담을 때는 구도를 미리 설정한 뒤 불필요한 곁가지 배경들을 정리해나가는 방법이 좋다.

아래에서 위로 보는 ‘로 앵글(low angle)’로 사람을 찍으면 다리가 길고 거대하게 보이며 얼굴이 작게 보이는 효과를 살릴 수 있다.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하이 앵글(high angle)’은 높은 위치에서 풍경들을 아래로 내려다보고 찍는 것으로, 시원해 보이고 멀리 보인다. 아파트나 산에서 아래를 보며 찍었다고 생각하면 쉽다. 또 눈높이에서 보는 ‘수평 앵글(standard angle)’은 본 대로 사진에 나오며 왜곡이 없어 건축물이나 정물 사진을 찍을 때 효과적이다.  

△ 같은 건물 사진이라도 로 앵글로 찍었을 때와 수평 앵글로 찍었을 때 다른 느낌을 준다. 바닥과 하늘 등 화면에 들어오는 풍경도 다르고, 건물의 높이와 너비도 다르다. 수평 앵글은 정직한 건물을, 로 앵글은 더 웅장한 건물 모습을 담아낸다.


2 가급적 밝은 곳에서 촬영하는 것이 정답
스마트폰 카메라에 달려 있는 렌즈는 DSLR 카메라나 일반 디지털카메라에 비해 크기가 작다. 빛을 받아들이는 양 자체가 적다 보니 그만큼 셔터 속도가 늦다는 점을 감수해야 한다. 조금만 어두운 실내에서 촬영하면 번번이 흔들린 사진이 나오는 이유다. 실내 촬영의 경우, 가급적 조명이나 주변광을 밝게 한 뒤 촬영하는 것이 좋다.

특히 스마트폰이 두 개일 경우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플래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촬영 대상을 비춰주고, 또 다른 스마트폰이 촬영을 하면 한결 사진이 잘 나온다. 이때 정면이 아니라 촬영 대상의 옆쪽에서 비춰주는 것이 포인트. 아이폰의 경우 LED 라이트, 안드로이드의 경우 LED 플래시 라이트 애플리케이션이 대표적이다. 야외라도 빛이 부족할 경우, 받침대 등 지형지물을 이용해 가급적 흔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이 좋다. 때로는 스마트폰에 달려 있는 플래시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초보자들이 제대로 된 노출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다.

3 카메라 뒷면 렌즈로 찍을 것
스마트폰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2개의 렌즈가 달려 있다. 일반 사진을 촬영할 때 쓰는 렌즈(뒷면)와 셀카를 촬영할 때 쓰는 렌즈(앞면)가 그것. 대다수 뒷면 렌즈는 500만~1000만 화소를 지원하는 반면, 앞면 렌즈 화소는 200만~300만 화소대로 낮다. 화소가 높을수록 결과물이 좋게 마련. 굳이 혼자 셀카를 찍는 게 아니라면 가급적 뒷면 렌즈로 촬영하는 것이 좋다. 

△ 풍경 사진의 핵심은 구도에 있다. 위 사진은 프레임을 3등분해 가운데 지점에 수평선을 넣어 안정적인 구도를 완성했다. 아래 사진은 건물 왼쪽으로 나무를 걸쳐 찍어 더욱 근사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4 풍경 사진의 ‘황금분할’을 기억하자
풍경 사진의 핵심은 구도에 있으며, 무엇보다 황금분할을 염두에 둬야 한다. 가령 바닷가 일출 사진의 경우 수평선을 한가운데 놓고 찍으면 NG! 프레임을 세로로 3등분해 3분의 1 또는 3분의 2 지점에 수평선을 놓으면 한결 나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포인트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풍경에서는 등대를,산 정상에서는 고목 하나를 사진 한쪽에 걸치고 찍으면 여느 작품 부럽지 않은 사진을 건질 수 있다.

5 ‘먹방’ 음식 사진 찍기
음식 사진은 음식뿐 아니라 꽃병, 수저, 수저 받침대, 냅킨, 컵받침 등의 주변 소품을 함께 촬영하면 더욱 풍성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 차려진 음식을 전체 다 담기보다는 음식 하나하나 가까이에서 촬영하면 더욱 먹음직스럽게 보인다.

생동감 있는 음식 사진을 위해 다양한 연출을 시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면 요리는 포크나 젓가락으로 들어 올리고, 음료는 잔을 모아 위에서 내려다보는 앵글로 찍는 등 상황에 맞는 각도와 연출은 효과를 배가시킨다. 

△ 화려한 음식일수록 위에서 아래를 보고 찍는 게 효과적이다. 그리고 스푼이나 포크, 젓가락 등으로 음식을 들어 올려 찍으면 군침이 절로 나오는 먹방 사진을 건질 수 있다.


6 야간에도 플래시는 안 쓰는 게 좋다
어둡다고 무턱대고 플래시를 사용하면 사진 속 인물은 ‘달덩이’가 되고, 플래시 없이 촬영하면 여지없이 흔들린 사진을 찍게 된다. 우선 흔들림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폰을 담벼락이나 테이블 등 움직이지 않는 곳에 올려두고 찍는 것이 좋다.

또한 주변 조명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캄캄한 산속이 아니라면 대개 약간의 불빛은 있게 마련. 하지만 주변에 가로등이 있다고 해서 피사체를 불빛 앞에 두는 것은 최악의 선택이다. 배경만 밝고 인물은 검게 나오기 때문이다. 이때는 빛이 있는 곳에서 한 발짝 정도 뒤에 피사체를 두는 것이 인물도 살리고 배경도 살리는 방법이다. 물론 포커스(초점)는 인물에 맞춰야 한다. 

  • Mini interview
    최갑수(여행작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기종은?
    아이폰5s를 사용 중이다. 아이폰4-아이폰5-LG 옵티머스G를 사용하다가 아이폰5s로 넘어왔다. 사진 성능은 타 기종에 비해 단연 아이폰이 최고다. 옵티머스G는 화소수가 높다고 해서 사용해봤는데, 퀄리티는 아이폰에 미치지 못했다. 주위에 갤럭시 유저들이 몇 명 있는데 실내에서는 대부분 촬영을 포기한다. 어떨 때는 아이폰5s가 웬만한 똑딱이 디카보다 낫다. 특히 조명이 어두운 환경에서 잡색을 억제하는 기능도 뛰어나다. 듀얼플래시의 각각 다른 색온도가 상당히 준수한 컬러 밸런스도 맞춰준다. 오토 포커싱도 빠르다. 연사와 슬로 모션 촬영 역시 찍는 재미를 선사한다.

    스마트폰 촬영 노하우가 있는지?
    아이폰 렌즈는 약간 광각이다. 28mm 정도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음식 사진 같은 경우 45도 각도로 찍으면 왜곡이 발생한다. 위에서 촬영하는 것이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풍경 사진은 노출차가 심할 땐 HDR 기능을 사용할 것. 최고 노출점과 최저 노출점을 합성해 사진을 만들어준다. 아이폰 사진이든 DSLR 카메라로 찍는 사진이든 화면은 단순하게 구성할수록 좋다. 인물 촬영 시 배경이 밝으면 인물이 어둡게 나온다. 이럴 땐 가장 어두운 부분을 탭하면 화면이 밝아진다.

    특별히 사용하는 사진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몇 개의 앱을 동시에 사용한다. ‘Snapseed’는 가장 즐겨 사용하는 앱이다. 밝기, 샤프니스, 대비 등 이 하나의 앱으로 사진 리터칭이 가능하다. 다양한 사진 효과도 있다. 흑백사진으로 변환할 때는 ‘Monochromia’나 ‘Noir’를 사용한다. HDR 기능을 사용할 때는 아이폰에 내장된 기능보다는 ‘TrueHDR’이라는 앱을 사용한다. 더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MullerPhoto’는 미국의 유명 사진가가 참여해 만든 앱이다. UI가 편하고 독특해 가끔 사용한다.

1 스냅시드 애플리케이션으로 나뭇가지를 촬영하고 크롭과 색상 조절을 해 파스텔 톤 효과를 주었다.
2 하늘색 지붕과 새파란 하늘을 평형을 맞추어 촬영한 것. 샤프니스 효과로 선명함을 더했다.
3 북촌 한옥 길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정면 각도로 찍어 바닥과 문의 곧은 선이 주는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4 스냅시드 애플리케이션에서 빈티지한 보정 효과를 주어 색감이 근사해진 꽃밭 사진이다.

 

CREDIT INFO

스마트폰 사진 촬영, 프로의 기술

 

스마트폰 사진 촬영, 프로의 기술

나의 사진을 달라지게 하는 촬영 노하우1 각(앵글)을 먼저 잡는 게 포인트! 모든 게 자동으로 맞춰지는 스마트폰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앵글’이다. 사각형 틀을 어떻게 찾아내느냐에 따

www.living-sense.co.kr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