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초상식
2023. 12. 23. 06:44
반응형
CAMERA 의 기종에 따라 아래와같은 측광방식이 있다
1 중앙부중점 평균측광
측광분포가 FINDER 의 중앙부에 집광된 것을 주로하여 측정하되 화면의
주변부로 들어온 광선까지 측정하여 전반적인 평균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주피사체가 (인물사진의 경우) 화면에 차지하는 크기와(화면비)
주변의 밝기의 차이가 크면(지나치게 밝거나 어두울때) 주피사체에 대한
노출측정치의 오차가 크다 특히 역광촬영시에 마주보는 태양광의 영향
으로 전반적인 노출부족의 화면이 된다 그러므로 노련한 노출보정의 기
술이 필요하다
수동식 CAMERA 에는 거의가 다 이 측광 MODE 뿐이므로 초심자에게는 오
히려 어려운 방식이다 현재 AF CAMERA 에도 이 측광 MODE 기능이 있는
것이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구습에 젖어있는 PRO 들의 선호도와 숙련
도에 따른것 뿐이다
2 중앙부 부분측광
측광분포가 중앙부로 집광된것 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밀집되어 있다
3 SPOT 측광
전체 FINDER 의 3% 전후의 면적에 해당되는 CENTER CIRCLE 로 집중된 것
만을 측정하여 주변의 환경에 상관없이 주피사체 만을 정확하게 또는 강
조할때 쓰인다
4 전면 평균측광
FINDER 에 들어오는 모든 광량을 전체적으로 평균하여 측정치를 나타낸
다
5 다분할측광
AF CAMERA 에만 있으며 기종에따라 작게는 5분할 많게는 14분할의 FIND-
ER 전체에 측광분포를 배열하여 저마다의 구역으로 들어온 광량을 연산하
여 측광치를 나타내는 현재로서는 가장 합리적인 측광방법 이다
웬만한 역광에서도 노출보정없이 적정노출을 측정한다
* 중앙부중점평균측광의 MODE 로 +1.5 ~ +2 의 보정량이 필요할 때에도
다분할측광 MODE 로 하면 +0.5 정도의 보정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주요기종의 측광방식
기 종 중앙부중점평균 중앙부부분 SPOT 다분할
────────┬───────────────────────
NIKON FM2 │ *
FA │ *
F3 │ *
F801 │ * *
F801s │ * * *
F601 │ * * *
F4 │ * * *
F90 │ * * *
F90X │ * * *
----------------│----------------------------------------------
CANON NEW F1 │ * * *
T90 │ * * *
EOS620 │ * *
EOS630 │ * *
EOS10 │ * *
EOS100 │ * * *
EOS1000 │ * *
EOS1 │ * * * *
EOS5 │ * * *
----------------│----------------------------------------------
MINOLTA X700 │ *
?7700i │ * *
?8700i │ * * *
?7xi │ * * *
?9xi │ * * *
?707si │ * * *
-----------------│---------------------------------------------
PENTAX LX │ *
SUPER A │ *
ME SUPER │ *
Z10 │ * *
Z1 │ * * *
-----------------│---------------------------------------------
OLYMPOS OM4 │ * *
-----------------│---------------------------------------------
CONTAX 137MA │ *
139MD │ *
167MT │ * *
RTS II │ *
RTS III │ * *
-----------------│---------------------------------------------
LEICA R5 │ * *
R6 │ * *
R6-2 │ * (전면측광) *
R7 │ * *
RE │ * *
M4 │ * *
M6 │ *
PHOTONAM 씀
반응형
'사진기초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 구매전 브랜드별 카메라 색감과 장점 비교!(캐논 vs 소니) (2) | 2024.01.03 |
---|---|
EOS_200D_II_동영상 촬영설명서 (0) | 2023.12.30 |
어디에나 쓸 수 있는 자연 사진 촬영 팁 (2) | 2023.12.22 |
어떻게 하면 음식을 이쁘게 찍을수있을까? (2) | 2023.12.20 |
카메라의 어원 및 시작 그리고 위기(feat. 스마트폰 vs 카메라) (2) | 2023.12.19 |